G05-7182802122

생곡산업단지에 세계최대 규모 ‘심해해양공학수조’ 들어선다

NSP통신, 도남선 기자, 2015-02-13 17:20 KRD7
#현대중공업(009540) #심해해양공학수조 #생곡산업단지 #자원개발 #플랜트

총 사업비 920억 원 투입...심해저 자원개발용 플랜트 기술혁신 인프라 건립, 고급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파급효과 1256억 원 전망...13일 생곡산단서 착공식 열려

NSP통신-심해해양공학수조 조감도. (부산시 제공)
심해해양공학수조 조감도. (부산시 제공)

(부산=NSP통신 도남선 기자) = 세계최대 규모의 심해해양공학수조가 생곡산업단지에 들어선다.

부산시는 13일 오후 4시 강서구 생곡산업단지에서 서병수 부산시장,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의 핵심 인프라 시설인 ‘심해해양공학수조’ 착공식을 개최했다.

‘심해해양공학수조’는 심해 깊은 바다에 설치하는 플랜트(구조물 및 기자재)에 영향을 미치는 조류, 파랑, 바람 등 실해역 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한 수조로, 해양플랜트 설계결과를 평가·검증하는 과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인프라이다.

G03-9894841702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부산시, 조선3사(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및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는 지난 2013년 11월 27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부산 생곡지구 2만7750㎡ 부지에 2016년까지 심해공학수조(산업부, 조선3사)와 심해공학연구동(해수부)을 건립하기로 했다.

2017년부터 심해해양공학수조를 통해 해외에 의존한 수조 시험장비 등 실증실험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플랜트 설비양산에 필수적인 기자재 품질 인증과 국제표준 개발, 나아가 차세대 기술인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 및 이산화탄소 해저격리저장기술 등 국가전략적 미래기술개발의 기반연구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국내에는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대덕 소재)내 해양공학수조(길이 56m× 너비 30m×깊이 4.5m)와 빙해수조(42m×32m×2.5m)가 있어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성능평가를 해왔다.

그러나 수심이 낮고 면적이 작아 그동안 해외 대형수조 운영사에 성능평가를 의뢰할 수밖에 없어 상당한 비용을 지불하는 것은 물론 국내기술이 간접적으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번에 건설할 심해해양공학수조는 길이 100m, 너비 50m, 깊이 15m 규모로 특히, 수조바닥으로부터 깊이 35m 짜리의 피트(Pit : 인공 구덩이)를 만들어 최대 수심 3000m의 심해환경을 재현한다.

해양플랜트의 설계단계에서부터 성능을 정밀하게 평가할 뿐만 아니라 운전이력(track record)이 없어 해외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 국내 플랜트 기자재 업계의 설계 및 건조(제조) 능력을 크게 보완할 수 있게 됐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세계최대규모의 수조로서 해양플랜트의 설계결과 검증 뿐 아니라, 해양플랜트의 운송, 설치, 운영, 해체 등의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분야에도 적용 가능해 국내 플랜트산업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에 건설되는 ‘심해해양공학수조’ 부지 인근에 2016년부터 ‘해양플랜트 고급기술연구소’의 건립을 시작하고, 강서구 미음R&D허브단지에 2016년에 준공되는 ‘해양플랜트 기자재 R&D센터’와 ‘조선기자재 성능고도화 센터’를 연계해, 부산을 조선 및 플랜트산업의 세계적인 중심지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우리나라의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이 세계1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만, 일본과 유럽 및 중국의 다양한 견제와 추격을 감안할 때, 결코 낙관만 할 수 없는 현실”이라면서 “부산에 심해해양공학수조 및 해양플랜트 기자재R&D센터, 조선해양기자재 성능고도화 시험인증 기반구축 등 핵심인프라 시설이 완공되면 기술경쟁이 심화되어 가는 세계무대에서 경쟁력을 크게 높이는 기반이 마련돼, 부산이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의 거점지역으로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심해해양공학수조가 부산에 들어서므로 고급일자리 창출 등 1256억 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aegookja@nspna.com, 도남선 기자(NSP통신)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