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NSP통신) 남정민 기자 = 전라남도가 국지성 집중호우와 산사태 등 갈수록 심화되는 이상기후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전남형 마을 안전지킴이' 제도를 올해 처음 도입해 운영에 들어갔다.
이 제도는 지역 실정을 누구보다 잘 아는 주민이 직접 재해 위험지역을 예찰하고 고령자나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주민을 신속히 대피시키는 등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도는 자율방재단과 이장·통장을 중심으로 도내 22개 시군의 재해취약 마을을 선정해 안전지킴이를 조직하고 이를 지원할 행정·치안 협업체계도 구축할 방침이다.
마을 안전지킴이는 침수 및 산사태 위험지역의 사전 점검과 긴급 조치, 취약계층 대피 지원, 마을 대피소 운영과 주민 1대1 관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현장 대응은 읍면동장이 유선 통신과 SNS 단체방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지시하고 기상 정보와 재난 상황을 신속히 공유하는 체계로 운영된다.
전남도는 시군과 함께 총 9억 원 규모의 재난관리기금을 투입해 안전지킴이 활동 수당으로 일 5만 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실비 지원을 통해 자발적인 방재 활동을 장려하고 활동 실적이 우수한 시군에는 장비 및 운영비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일부 시군에서는 청년 자율방재단과 드론 순찰대를 시범 운영하는 등 방재 체계의 다양화도 시도하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기상이변으로 재난의 규모와 속도가 점점 커지는 만큼 주민이 중심이 된 대응체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시군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