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건설연, 물 공급 소외지역대상 ‘모래 활용한 샌드댐 기술’ 개발

NSP통신, 정의윤 기자, 2022-09-23 09:51 KRD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병석 #샌드댐 #모래저장형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NSP통신-완공된 샌드댐의 모습 (건설연)
완공된 샌드댐의 모습 (건설연)

(서울=NSP통신) 정의윤 기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김병석, 이하 건설연)은 가뭄 시 소외지역에 물이 끊기지 않도록 공급할 수 있는 모래저장형댐(이하 샌드댐)을 환경부 연구사업을 통해 개발했다.

우리나라의 상수도 보급률은 97.5%지만 미보급지역과 소규모 수도시설(5920개소) 지역은 가뭄 시 취약지역으로서 안정적인 수원 확보가 중요하다.

샌드댐(Sand Dam)이란 아프리카 지역과 같은 건조 지역에서 연간 드물게 발생하는 홍수를 저류시켜 흙 입자를 침전시킨 후 그 속에 저장된 물을 건조 시에 활용하는 시설이다. 샌드댐은 모래 안에 물이 저장되므로 증발 손실이 적고 모래층을 통과해 수질이 개선되고 겨울에는 흙 속에 물이 저장돼 얼지 않는 장점이 있다.

G03-9894841702

우리나라에 샌드댐에 대한 수요가 있는 장소로는 주로 산간 계곡 지역이다. 이 지역 주민들은 소규모 취수원에 의존하기 때문에 극한 가뭄 시 식수부족으로 인해 급수차가 동원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앞서 2016년 2월 춘천시 계곡물 결빙과 수원 고갈 때문에 춘천시 물로리 등 9개 마을에 소방서와 춘천시 급수 차량 지원을 통해 식수를 공급했다.

이에 건설연 수자원하천연구본부 연구팀은 춘천시 북산면 물로리 지역에 바이패스형(Bypass Type) 샌드댐을 시공했다.

바이패스 방식이란 하천 옆 바닥이나 변두리의 자갈, 모래층에 함유돼 있는 물인 복류수를 간접 취수하는 방식을 말한다. 빠르게 흐르는 계곡을 직접 막을 경우 댐 유실 같은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간접 취수의 방식을 적용했다.

즉 계곡 하천 옆 소규모 취수원 하부에 샌드댐을 설치하고 확보된 공간에 모래를 채운 후 그 아래에 모래층을 통과한 물을 공급하는 배관 시설을 설치했다.

샌드댐 건설로 인해 평상시의 공급유량은 평균 일 150톤으로 크게 증가했고 수질 역시 식수로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극한 가뭄이 오더라도 최소 10일 이상은 연속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가뭄 대응책이 마련됐다. 샌드댐 시설은 올해 말 춘천시에 이관돼 영구적으로 관리될 예정이다.

김병석 건설연 원장은 “개발된 샌드댐의 실증으로 여름과 겨울철의 극한 가뭄 및 결빙 시에도 깨끗한 수질의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NSP통신 정의윤 기자 jeyoun9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