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NSP통신) 권민수 기자 =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는 18일 더불어민주당 의원 13명이 월성원전 삼중수소와 감마핵종 누출 현장 점검을 위해 방문했다.
이날 현장에는 월성원전 방사선 누출에 대한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입장을 옹호하는 양남·양북 주민들의 대립과 민주당 의원들의 방문을 반대하는 주민들이 차량을 가로막고 항의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월성본부는 2019년 4월 월성원전 3호기 터빈건물 하부 지하 배수관로에서 71만3000 베크렐의 삼중수소가 검출된 직후인 2019년 5월에 보고사항이 아닌 문제까지 원자력안전협의회에 보고했다.
이를 보고받은 원안위의 현 상황에 대한 대응이 의문스럽다. 보고받은 사항에 대한 결과와 판단을 국민에게 발표해야 하는 것이 정상적인 순서이다. 그러나 원안위는 이를 생략하고 18일 민간조사단을 구성해 월성원전 삼중수소 누출에 대해 조사를 발표했다.
이는 원안위가 원성본부로부터 받은 보고서에 대해 약 2년 동안 조사와 확인 절차를 수행하지 않았다는 결론이다.
또 언론의 월성원전 삼중수소 최초 보도 이후에도 원안위는 자기 일이 아닌 것처럼 아무런 반응과 해명을 내놓지 않았다.
이를 두고 양남주민 A 씨는 “월성본부를 규제하는 기관이 책임져야 할 일을 모두 월성본부에 떠넘기는 것 같다. 이제 와서 조사를 한다니 웃을 일이다. 결과를 내놓고 잘못된 것은 인정하고 재조사 또는 확인 절차를 밟는 것이 정상이다. 그러지 못하면 필요 없는 기관이다. 모두 집에 가야 한다”고 질책했다.
한편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 수용한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시민이 참여하고 각계각층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조사단이 하루빨리 출범해 원인 규명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예산이 얼마가 들던 지원하겠다. 원안위의 지침보다 더 빠르게 정보를 주민들에게 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삼중수소와 감마핵종 누출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원전의 위험성을 알리며 탈원전 정책과 월성1호기 조기 폐쇄조치의 정당성을, 국민의힘은 정부와 여당이 월성원전 1호기 조기폐쇄를 위한 경제성 조작 의혹 검찰조사를 막기 위한 언론조작과 원전 괴담 조장을 각각 주장하며 정쟁을 벌이고 있다.
또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011년 후쿠시마원전 폭발사고 이후 국민이 공감하는 원자력 안전과 방사선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비전으로 제시하며 국민의 눈높이에서 소통하고 현장에서 발로 뛰는 원자력안전위원회를 만들어 가겠다며 출범한 정부 기관으로 출범 취지에 맞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국민의 의혹이 커지고 있다.
NSP통신 권민수 기자 kwun5104@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